내일채움공제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다른 상품입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후 중진공)에서 진행하는 것은 같지만 가입 대상, 조건 등이 다릅니다.
만기도 2년, 5년 상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가입할 수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내일채움공제와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서 비교해보겠습니다.
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수령 조건
내일채움공제는 재직자,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사회초년생이 경제적 기반 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정책입니다. 중소기업, 중견기업에 재직해야 하고 제외 업종도 있습니다.
내일채움공제 만기 5년 수령 조건
내일채움공제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중소기업 핵심 근로자의 장기 재직과 인력 양성을 위해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근로자와 사업주가 공동으로 적립한 공제금에 복리이자를 추가하여 5년 만기되면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합니다.
- 가입 대상 : 핵심인력 – 중소기업에 정직원으로 재직하는 자, 기업 – 중소기업, 중견기업
- 가입 제외 업종 : 주점업(코드 : 562),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품목코드 : 91)
- 가입 기간 : 만기 5년(최초 가입), 3~5년(재가입시 선택 가능)
- 납입 금액 : 5년간 최소 2천만원 이상(월 34만원 이상)으로 재직자와 사업주가 1:2 비율로 납부
내일채움공제를 하는 사업주에 대해 기업 납입금 전액 비용 인정과 연구, 인력개발비 세액제를 적용하는 혜택을 줍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2년 수령 조건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미취업 청년이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장기근속을 독려할 수 있게 경제적 도움을 주는 공제 상품입니다. 내일채움공제와 다르게 정부 3자가 추가되어 청년, 사업주, 정부 3자가 공제금을 납부합니다.
- 가입 대상(청년) : 만 15세 ~ 만 34세 이하(군 경력은 복무기간 비례 적용, 최고 만 39세까지 한정),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 12개월 이하
- 가입 대상(기업) : 채용일 기준 직전 3개월 평균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50인 미만 고용. 건설업, 제조업 중소기업
- 가입 기간 : 만기 2년
- 납입 금액 : 청년 400만원, 기업 400만원, 정부 400만원, 만기 수령 1,200만원+이자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가입 대상 청년이 정규직 채용이 된 후 6개월 이내 신청해야 합니다.
내일채움공제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근로자, 사업주 모두 청약을 신청해야 합니다. 관심이 있다면 입사 전에 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신청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입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두 상품 중도 해약할 수 있으며 원금 손실은 없기 때문에 적금에 관심이 있다면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