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과 연관된 물가가 대부분 오르는 가운데 도시가스 요금도 올랐습니다. 서울의 경우도 2023년 7월 1일부터 주택용 기본요금이 기존 1,000원에서 1,250원으로 인상했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캐시백 제도를 통해서 도시가스 요금 절약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가스비 절약 방법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은 신청자 도시가스 절감 기간과 비교하여 절감에 성공했을 경우 캐시백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돈으로 적립해 줌으로써 가스비로 나갔던 돈 일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주택 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12월~3월 동절기 동안 저년도 사용량보다 3%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참여대상 신청기간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은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은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단, 지급 대상 제외자는 신청을 해도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
- 신청 기간 : 2023년 12월 1일 ~ 2024년 3월 31일(4개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절감기간 비교기간
도시가스 절감기간은 2023년 12월 ~ 2024년 3월(2024년 1월 ~2024년 4월 고지서 기준)이고 비교기간은 전년도 2022년 12월 ~2023년 3월(2023년 1월~2023년 4월 고지서 기준)입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지급기준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은 절감율별 차등 지급하며 절감율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 그리고 기온 상승에 따른 자연 감소에 대한 온도 보정 계수를 적용할 예정입니다.
도시가스 절약 방법 9가지
실내 온도를 1℃만 낮춰도 도시가스를 7% 절약할 수 있습니다. 가스비는 온수를 사용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요. 절약 방법을 통해서 도시가스 사용도 줄이고 캐시백도 받기 바랍니다.
- 실내 적정 난방온도 18~20℃ 설정
- 적정 습도 40~60% 유지
- 적정 온수 온도 40℃ 설정
- 온수 사용 이후 수도꼭지 냉수 방향으로 돌리기
- 방한용품 활용
- 효율적 난방 운전하기
- 보온용품 내복, 수면바지, 수면양말 등 보온용품 착용
-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사용하지 않는 방 밸브 잠그기 등)
- 보일러 청소하기(보일러 열효율을 위해 사용전 청소)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에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K-GAS CASHBACK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과 동시에 신청이 완료되어 신청절차도 어렵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