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1일부터 부산 시민이 교통비를 최대 환급을 받을 수 있는 동백패스 K패스 결합 제도가 나왔습니다. 두 가지를 연계하면 자동으로 최대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동백패스와 K패스 환급 혜택 비교, 대상, 신청 방법 등에 대해서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동백패스 K패스 결합
부산 시민분들 교통비 환급 더 알뜰하게 챙기고 싶지 않나요? 동백패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K패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지금 이 글을 읽어주세요.
동백패스 K패스
환급 혜택 비교
구분 | 동백패스 | K패스 |
---|---|---|
환급률 (환급액) | 월 4만 5천원 |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 53% |
이용 횟수 (금액) | 초과 이용시 최대 4만 5천원 한도 | 월 15회 이상 ~ 60회 이하 |
이용 수단 | 부산 대중교통 | 전국 대중교통 |
지원 대상 범위
동백패스 K패스 지원 대상은 만 19세 이상 동백패스 이용자 및 K패스 회원 가입자 입니다. K패스 이용자는 카드가 동백전 교통카드 등록을 필수로 해야 합니다.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대해 동백패스와 K패스의 환급금 계산 방식으로 산정된 환급금 비교 후 더 높은 금액 자동 환급됩니다.
교통비 환급 예시
월 대중교통비로 6만원 사용 시 예시를 비교했습니다. 일반은 월 6만원 이용 시 동백패스로 환급, 청년(만 19세~34세)은 K패스로 환급, 저소득(기초수급자, 차상위)은 K패스로 환급 됩니다.
동백패스 신청
K패스-동백 교통비 환급 제도에 혜택을 받으려면 동백전 교통카드 등록은 필수이고 동백패스에 이용자여야 합니다. 반대로 동백전 교통카드 등록만 되어 있다면 K패스 회원가입도 해야 합니다.
동백패스 신청 방법
- 동백패스 이용자 : K패스 회원가입 및 동백전 카드 등록 후 대중교통 이용
- K패스 이용자 : 동백전 교통카드 발급 후 동백전 앱 다운로드 및 동백패스 회원가입 ▶ K패스 앱/홈페이지 동백전 카드로 변경
- 신규 이용자 : 동백전 교통카드 발급 후 동백전 앱 다운로드 및 동백패스 회원가입 ▶ K패스 앱/홈페이지 회원가입 및 동백전 카드 등록
- 선불형 동백전 카드 이용자 : K패스 가입 전 이즐충전소 앱 설치 및 카드 등록 필수
동백전 교통카드 발급 신청은 동백전 앱 또는 은행(부산, 하나, 농협) 영업점에서 할 수 있습니다.
동백패스 삼성페이
동백패스와 K패스 환급 혜택을 동시에 받으려면 동백전에서 발급 받은 카드를 K패스에 등록해야만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삼성페이가 가능한 카드가 있습니다.
- 부산 체크카드 : 삼성페이/LG페이 등 간편결제 가능
- 부산 선불카드 : 간편결제 사용 불가
- 하나 체크카드 : 삼성페이/LG페이 등 간편결제 가능
- 농협 체크카드 : 삼성페이/LG페이 등 간편결제 가능
- 코나 선불카드 : 간편결제 사용 불가
동백패스로 환급되는 달은 동백전 정책지원금으로 익월 15일경 환급되고 K패스로 환급되는 경우 카드 결제계좌로 환급됩니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부산 시민이라면 꼭 받아야되는 혜택이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인천i패스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교통비 절감이 꽤 되니 대상자라면 꼭 신청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