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오곡밥 먹는 이유

정월대보름은 정월(1월)의 보름날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합니다. 정월대보름은 매해 음력 1월 15일로 2024년 정월대보름은 2월 24일 입니다.

정월대보름에 오곡밥 먹는 이유와 그 외에 또 먹는 음식에 대해서 포스팅했습니다.


정월대보름 오곡밥 먹는 이유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은 설날 이후 처음 맞는 보름날로 한국의 명절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 부럼, 귀밝이술 등을 먹으며 한 해의 건강과 소원을 빕니다.


정월대보름 의미

정월대보름은 정월을 빼고 대보름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옛날에는 설날보다 더 큰 명절로 지내기도 했다고 합니다.

설날부터 대보름까지 15일까지 축제처럼 지내며 지신밟기를 하며 마을 집터 곳곳의 지신을 밟아 달래는 민속놀이를 통해서 한 해의 안녕을 기리기도 합니다.


정월대보름 음식

정월대보름에는 민속놀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식을 먹는데요. 이 음식들을 왜 먹게 됐는지 설명해 보겠습니다.

오곡밥

오곡밥에는 찹쌀, 차조, 붉은팥, 찰수수, 검은콩 등을 섞어 5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입니다. 과거에 가을 추수 때 가장 잘 자라던 곡식들을 모아 한 공기에 담으니 다섯 가지 곡식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진채

진채는 묵은 나물이라는 뜻으로 오곡밥과 같이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 중 하나입니다. 순무, 콩, 무잎, 오이, 가지 등의 각종 채소를 말려둔 나물인데요. 지역마다 종류가 다르지만 보통 10가지 이상 나물을 준비합니다.

위의 나물 외에도 고추나물, 취나물, 시래기, 호박잎, 숙주나물 등도 각 가정에 따라 추가적으로 준비해서 먹습니다.


부럼

부럼은 정월대보름에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아침 일찍 부럼을 나이 수 만큼 깨물어 먹습니다. 일명 부럼깨기로 부럼을 깨물면서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비는 풍습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래서 요즘도 정월대보름 시기가 되면 견과류의 매출이 눈에 띄게 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귀밝이술

귀밝이술은 이명주라고도 하며 이른 아침에 부럼과 같이 찬 술을 마시는 관습입니다. 이름대로 귀가 밝아지고 귓병을 막아주며 1년간 좋은 소식만 듣기 바라는 데에서 유래됐습니다.


정월대보름에 오곡밥, 진채, 부럼 등 음식을 먹는 이유는 종합해보자면 한 해의 안녕과 평안을 바라는 마음을 상징적으로 먹는다고 할 수 있겠네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