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군인 월급 인상율이 대폭 인상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는 병사들에게 더 나은 보상이 주어질 예정인데요.
특히 병장의 월급이 150만 원으로 인상되며, 여기에 장병내일준비적금 지원금을 더하면 매달 총 205만 원을 받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번 월급 인상과 함께 병사들에게 주어질 추가 혜택들은 무엇일까요? 군 복무 기간 동안 더 많은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군인 월급
- 이병: 750,000원
- 일병: 900,000원
- 상병: 1,200,000원
- 병장: 1,500,000원
이번 인상으로 병사들은 월급뿐만 아니라 장병내일준비적금을 통해 더 많은 자산을 형성할 수 있게 됩니다.
2025년부터는 장병내일준비적금 지원금이 월 55만 원으로 인상되어, 병장 기준으로 월 205만 원을 받게 됩니다.
2025 군인 월급 누계
2025년 인상된 병사 월급을 1원도 쓰지 않고 모은다면 얼마일까요? 제가 계산해봤습니다.
육군으로 18개월 복무한다고 가정했을 때 월급을 합산하면 20,1000,000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장병내일준비적금을 한다면 이를 통해 군 복무 기간 동안 병사들은 약 3100만 ~ 3700만 원을 모을 수 있게 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의 혜택
장병내일준비적금은 군 복무 중 병사들이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지원금이 월급 외에 별도로 지급됩니다.
2025년에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의 정부 지원금이 월 55만 원으로 인상되어 병사들은 군 복무 기간 동안 적금을 통해 자산을 더 많이 모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육군 병사로 18개월 동안 복무하면서 매월 40만 원을 적금에 넣으면:
- 납입 원금: 7,200,000원(40만원 X18개월)
- 정부 지원이자(1%): 57,000원
- 은행 이자(5%): 285,000원
- 만기 후 원리금 : 7,542,000원
- 정부 지원금: 9,900,000원(18개월 기준 월 55만 원 지원)
- 총 합계: 17,442,000원
이처럼 군 복무 중 장병내일준비적금을 통해 자산을 크게 불릴 수 있습니다. 은행 이자는 해당 은행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더 높은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병사 월급과 장병내일준비적금 합계
병사 월급으로 장병내일준비적금을 40만 원 했을 경우 얼마나 저축할 수 있는지 계산해봤습니다.
월급에서 적금 40만원 했을 때 병사 월급 누계
군인 월급에서 장병내일준비적금을 40만 원을 했을 때 월급을 모으면 129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 군인 월급 12,900,000원
- 장병내일준비적금 : 7,542,000원
- 장병 내일준비 지원금 :9,900,000원
- 총 합계 : 30,342,000원
병사 월급에서 장병내일준비적금을 든다면 약 3000만 원의 자산을 군 복무 기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참고
2025 군인 월급 하사와의 보수 비교 논란
병장의 월급이 크게 인상되면서 일부에서는 초급 간부인 하사와의 보수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그러나 하사 1호봉의 기본급은 1,933,000원으로 병장보다 적어 보일 수 있지만, 하사의 보수는 다양한 수당으로 구성됩니다.
직급 보조비, 정액 급식비, 명절 휴가비, 성과 상여금 등 다양한 수당을 포함하면 하사는 최소 2,735,000원을 받게 됩니다.
국방부는 병사가 받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은 인건비가 아닌 복지 사업비에 해당하므로, 병사와 하사의 보수를 직접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사들은 병사들보다 더 많은 복지 혜택과 실질적인 수당을 받기 때문에 처우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2025년 병사 월급 인상과 장병내일준비적금 지원금 인상은 병사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중요한 변화입니다.
군 복무 중 병사들은 월급과 적금을 통해 전역 시 더 많은 자산을 모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전역 후 사회로 복귀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련 문서